HOME / BUSINESS / 사업분야

사업분야

최고의 글로벌 기술 경쟁력으로 앞서 가겠습니다.
미세조류의 응용사업 부분

사업분야

- 식품 · 의약분야

  · 식품, 건강보조식품, 의약품 원료로 활용(색소, 지방산, 항산화제, 항생물질, 항암제)

  · 주요 미세조류 : Chlorella, Schizochytrium, Aphanizomenon, Nostoc

- 조류제어

  ㆍ적조(red tides, harmful algal blooms)
      - 바다에서 일어남
      - 질소(N)와 인(P)등의 과다 유입
      - 해수온도 21~26 도 (6월중순 ~ 9월하순)
  ㆍ녹조(green tide, water-bloom)
     - 담수에서 일어남
     - 영양염류 과다
     - 여름철 남조류
  ㆍ발생원인
     수중 영양분 과다 → 부영양화 → 특정생물 폭발적 증가
      1. 식물성플랑크톤인 녹조는 광합성을 해야 하기 때문에 햇빛과 따뜻한 수온 필요
      2. 먹이인 인, 질산 등의 영양 염류 필요
      3. 녹조는 포자를 이용해 번식하기 때문에 유속이 강한곳에서는 번식할 수 없음
  ㆍ경감대책
     1. 물리적 학적 구제방법
     2. 생화학적 구제방법
     3. 기타
        황토살포에 의한 기급구제방법
        수질정화 처리 장치등이 이용중

- 먹이생물

   · 생먹이생물, 생물사료, 사료첨가제 활용

   · 주요 미세조류 : Tetraselmis, Chlorella, Spirulina, 규조류

   · 동물성 먹이생물을 배양하기위한 먹이 (로티퍼)

   · 미세조류 자체를 먹이 생물로 공급 (패류, 갑각류등)

  ㆍ먹이생물조건
      1. 소화가 잘 될것
      2. 영양가가 충분
      3. 유생의 입의 크기에 맞아야함
      4. 운동성이 너무 빠르면 곤란
      5. 독성이 없을것
      6. 원형이고 냄새, 색상등이 유생의 선호
      7. 배양 밀도가 높을것
   ㆍ먹이생물 대량배양의 문제점
     1. 경제성
          - 넓은 수조면적 : 조도
          - 수확방법과 개발의 필요
          - 인건비, 에너지 비용등이 높음
    2. 안전성
         - 하등의 단세포 식물
         - 고밀도배양 집단 폐사율이 높음
    3. 전문성
        - 미세조류은행의 활성화 시급
        - 먹이 생물의 산업화 기술개발
        - 배양배지의 개발 시급

2. 광생물반응기 사업부.png

3. 맞춤형 제작 사업부.png